트러스트

진정성과 전문성을 갖춘 뉴스

사회

“세금혜택 끝+부품난”… 닛산의 신형 리프, 전기차 출고 전략 흔들리나?

– 미국 정부, 전기차 세금 공제 종료 결정 9월 30일까지 한시 적용
– 닛산, 중국 희토류 수출 제한 영향으로 신형 리프 생산량 감축
– 전기차 핵심 부품 공급난, 유럽 자동차업계까지 확산 조짐

[트러스트=전우주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오는 9월 30일부로 최대 7,500달러(한화 약 1,029만 원)의 친환경차 세금 공제를 종료한다고 발표하면서, 전기차 업계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격 인상과 수요 위축이라는 이중 악재가 예고된 가운데, 닛산은 차세대 리프(Leaf) 생산량을 줄이기로 결정하며 변화를 예고했다.

▲3세대 리프(사진=닛산)

신형 리프는 아직 출시되지 않았지만, 일본 언론 보도에 따르면 닛산의 생산 축소 결정은 세금 공제 종료 외에 부품 수급 문제도 배경으로 작용했다. 특히 중국 정부가 희토류 자원 및 자석류에 대해 수출 규제를 강화하면서, 주요 소재 확보에 차질이 생긴 것으로 전해졌다. 로이터통신은 교도통신 보도를 인용해 이 같은 공급난이 닛산뿐 아니라 포드, 스즈키 등 여러 완성차 제조사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전했다.

희토류는 전기모터, 배터리, 자성부품 등 주요 전기차 핵심 기술에 사용되는 전략 자원으로, 중국의 수출 제한은 자동차 부품 공급망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고 있다. 유럽자동차부품협회는 최근 성명에서 “희토류 및 자석 수출 제한 조치가 유럽 내 완성차 생산과 수천 개의 일자리를 위협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들은 “내연기관과 전기차 모두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전체 공급망이 중단될 수 있는 구조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다.

▲3세대 리프(사진=닛산)

리프의 3세대 신형 모델은 지난달 공개됐으며, 올가을 미국 출시를 앞두고 있다. 기존 해치백 구조 대신 크로스오버 스타일로 탈바꿈한 것이 특징이며, 실내 디자인도 대형 디스플레이와 고급 소재 중심으로 현대화됐다. 파워트레인은 두 가지 구성으로 제공되며, 기본형은 52kWh 배터리와 174마력(130kW)의 전기모터가 조합되고, 고성능 버전은 75kWh 배터리에 215마력(160kW)의 모터가 탑재된다.

▲3세대 리프(사진=닛산)

전기차 세금 공제 종료와 희토류 공급 불안이라는 복합적인 리스크는 닛산뿐 아니라 글로벌 전기차 산업 전반의 구조적 리스크를 예고하고 있으며, 향후 출시 일정과 생산 전략에도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reivianjeon@naver.com

답글 남기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