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패널 탑재 확정”… 폴더블 아이폰, 2025년 하반기 생산 시작
– 2025년 하반기부터 폭스콘이 폴더블 아이폰 본격 생산 착수
– 삼성디스플레이, 700만~800만 장 디스플레이 패널 공급 예정
– 2,000달러 이상 고가 정책 유지, 2026년 4분기 출시 목표
[트러스트=전우주 기자] 애플이 수년간 개발해온 폴더블 스마트폰이 마침내 생산 단계에 접어들 전망이다. 업계에 따르면, 애플의 주요 공급업체인 폭스콘은 오는 9월 말에서 10월 초 사이 폴더블 아이폰의 본격적인 생산을 시작할 가능성이 크며, 이 제품은 2026년 하반기 출시될 아이폰 18 시리즈의 일부로 공개될 예정이다.

제품 양산 시점이 임박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많은 구성 요소의 사양은 확정되지 않았다. 다만, 핵심 부품 중 하나인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이미 개발을 마쳤으며, 해당 패널은 삼성디스플레이가 전량 공급할 것으로 확인됐다.
업계에 따르면, 해당 디스플레이는 접었을 때 5.5인치, 펼쳤을 때 7.8인치로 구성되며, 구조는 갤럭시 플립보다는 갤럭시 폴드처럼 좌우로 접히는 ‘북타입’ 방식이 채택될 것으로 보인다.
이 제품은 펼쳤을 경우 두께가 약 4.5mm, 접었을 때는 9~9.5mm 수준으로 설계돼 현존하는 폴더블폰 중 가장 얇은 축에 속할 가능성이 있다. 애플은 힌지 설계와 접힘 자국 최소화에 많은 기술력을 투입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사용 중 접힘 라인이 거의 보이지 않는 수준으로 완성도를 높이고 있다. 또, 디스플레이 아래에 탑재되는 카메라 기술도 적용될 예정이나, 구조적 제약으로 인해 기존 Face ID 대신 Touch ID 방식이 도입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출시 시점이 가까워질수록 소비자들의 관심은 가격에 쏠리고 있다. 밍치궈 애널리스트는 앞서 애플이 폴더블 아이폰의 가격을 2,000~2,500달러(한화 약 276~345만 원) 선에서 책정할 것으로 내다본 바 있으며, 이는 미국 기준 세전 가격으로, 향후 국가별 관세 등에 따라 더 높아질 여지가 있다.
생산 규모도 구체화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26년 중 해당 모델에 사용될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약 700만~800만 장 공급할 예정이며, 이에 맞춰 애플은 초기 물량으로 1,500만~2,000만 대가량을 주문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 물량은 약 2~3년간의 판매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수준으로 분석되며, 프리미엄 가격 설정으로 인해 시장 수요는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 모든 계획은 제품이 실제 양산 단계에 진입했을 때 비로소 확정될 수 있다. 궈 애널리스트는 계획이 변경될 가능성도 여전히 존재하며, 양산 일정이 조정될 경우 출시 시점 또한 늦춰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reivianjeon@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