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러스트

진정성과 전문성을 갖춘 뉴스

생활

“삼성 패널 탑재 확정”… 폴더블 아이폰, 2025년 하반기 생산 시작

– 2025년 하반기부터 폭스콘이 폴더블 아이폰 본격 생산 착수
– 삼성디스플레이, 700만~800만 장 디스플레이 패널 공급 예정
– 2,000달러 이상 고가 정책 유지, 2026년 4분기 출시 목표

[트러스트=전우주 기자] 애플이 수년간 개발해온 폴더블 스마트폰이 마침내 생산 단계에 접어들 전망이다. 업계에 따르면, 애플의 주요 공급업체인 폭스콘은 오는 9월 말에서 10월 초 사이 폴더블 아이폰의 본격적인 생산을 시작할 가능성이 크며, 이 제품은 2026년 하반기 출시될 아이폰 18 시리즈의 일부로 공개될 예정이다.

▲폴더블 아이폰 예상도(사진=맥루머스)

제품 양산 시점이 임박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많은 구성 요소의 사양은 확정되지 않았다. 다만, 핵심 부품 중 하나인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이미 개발을 마쳤으며, 해당 패널은 삼성디스플레이가 전량 공급할 것으로 확인됐다.

업계에 따르면, 해당 디스플레이는 접었을 때 5.5인치, 펼쳤을 때 7.8인치로 구성되며, 구조는 갤럭시 플립보다는 갤럭시 폴드처럼 좌우로 접히는 ‘북타입’ 방식이 채택될 것으로 보인다.

이 제품은 펼쳤을 경우 두께가 약 4.5mm, 접었을 때는 9~9.5mm 수준으로 설계돼 현존하는 폴더블폰 중 가장 얇은 축에 속할 가능성이 있다. 애플은 힌지 설계와 접힘 자국 최소화에 많은 기술력을 투입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사용 중 접힘 라인이 거의 보이지 않는 수준으로 완성도를 높이고 있다. 또, 디스플레이 아래에 탑재되는 카메라 기술도 적용될 예정이나, 구조적 제약으로 인해 기존 Face ID 대신 Touch ID 방식이 도입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폴더블 아이폰 예상도(사진=애플 인사이더)

출시 시점이 가까워질수록 소비자들의 관심은 가격에 쏠리고 있다. 밍치궈 애널리스트는 앞서 애플이 폴더블 아이폰의 가격을 2,000~2,500달러(한화 약 276~345만 원) 선에서 책정할 것으로 내다본 바 있으며, 이는 미국 기준 세전 가격으로, 향후 국가별 관세 등에 따라 더 높아질 여지가 있다.

생산 규모도 구체화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26년 중 해당 모델에 사용될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약 700만~800만 장 공급할 예정이며, 이에 맞춰 애플은 초기 물량으로 1,500만~2,000만 대가량을 주문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 물량은 약 2~3년간의 판매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수준으로 분석되며, 프리미엄 가격 설정으로 인해 시장 수요는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 모든 계획은 제품이 실제 양산 단계에 진입했을 때 비로소 확정될 수 있다. 궈 애널리스트는 계획이 변경될 가능성도 여전히 존재하며, 양산 일정이 조정될 경우 출시 시점 또한 늦춰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reivianjeon@naver.com

답글 남기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