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류할증료 3년 만에 최저”… 5월 황금연휴 앞두고 항공권 부담 줄어든다
– 싱가포르 항공유 가격 하락에 따라 유류할증료 5단계로 조정
– 대한항공·아시아나, 국제선 유류할증료 최대 22.6% 인하
– 진에어 포함 저비용항공사들도 유류할증료 인하 동참
[트러스트=전우주 기자] 국제유가 하락이 이어지면서 국제선 유류할증료가 최근 3년 사이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5월 초 징검다리 연휴를 앞두고 항공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이 같은 변화는 항공권 구매 부담을 낮추고 여객 수요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23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5월 1일부터 발권되는 국제선 항공권에 부과되는 편도 유류할증료를 전달보다 최대 22.6% 낮춘다. 기존 1만 3,500원~9만 9,000원이던 유류할증료는 1만 500원~7만 6,500원 수준으로 조정된다. 아시아나항공도 최대 21.1% 인하된 수준으로 국제선 유류할증료를 적용하며, 1만 1,700원에서 6만 5,600원 사이로 조정될 예정이다. 진에어 역시 달러 기준으로 부과하는 유류할증료를 최소 1달러, 최대 4달러까지 낮춰 여행객 부담을 줄이게 된다.
유류할증료가 두 달 연속으로 하락세를 나타낸 주요 배경에는 싱가포르 항공유(MOPS)의 평균 가격 하락이 자리하고 있다. 5월 적용 기준이 되는 2025년 3월 16일부터 4월 15일까지의 MOPS 평균 가격은 갤런당 197.94센트로 5단계 수준으로 책정됐다. 이는 두 달 전 8단계였던 점과 비교하면 급격한 하락세다.
특히 대한항공의 경우 유류할증료 적용 단계가 5단계로 낮아진 것은 2019년 6월 이후 약 5년 10개월 만의 일이다. 당시 최단거리 노선 기준 유류할증료는 8,400원으로 책정됐으며, 현재의 기준은 2022년 2월 이후 약 3년 2개월 만의 최저 수준이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중단되거나 대폭 감소했던 유류할증료는 2022년부터 점진적으로 인상되어 왔다.
업계는 유류할증료 인하와 더불어 5월 초 황금연휴가 맞물리면서 항공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등 국내 주요 항공사들의 제주행 항공편은 대부분 조기 매진 상태에 접어들었다. 특히 5월 1일 근로자의 날과 5월 2일 하루의 연차를 활용하면 최대 6일간의 연휴를 계획할 수 있어 해외여행 수요도 급증할 가능성이 크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국내선 항공권, 특히 제주 노선 중심으로 매진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5월 황금연휴를 앞두고 해외여행 수요 역시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연휴가 가까워질수록 분위기는 더욱 뜨거워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reivianjeon@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