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V·전기차가 대세”… 국내 수입차 시장 20년 만에 판도 뒤집혔다!
– 수입차, 20년간 SUV·친환경차 중심으로 시장 재편
– 브랜드·모델 수 3배 확대, 등록 양상도 대중화
– 하이브리드·픽업까지 확대, 국산차와 차별화 유지
[트러스트=전우주 기자]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가 2003년부터 2025년까지 국내 수입 승용차 시장의 흐름을 분석한 결과, 세단 중심이던 시장이 SUV와 같은 레저용 차량으로 이동했고, 내연기관에서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중심의 친환경차로 중심축이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분석은 국토교통부 등록 기준 통계를 기반으로 수입차의 성장 양상과 구조적 변화를 정리한 것으로, ‘▲다양성 ▲대중화 ▲친환경 ▲차별화’라는 네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구성됐다.
우선, 수입 승용차의 브랜드 수는 2003년 16개에서 2025년 26개로 약 1.6배 늘었으며, 판매 모델 수도 170여 종에서 520종 이상으로 확대됐다. 국산 승용차 모델 수가 약 120종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수입차는 다양한 선택지 제공을 통해 소비자 저변을 넓혀 온 것으로 해석된다.
차종 분포는 확연히 달라졌다. 2003년에는 전체 수입 승용차 신규 등록 1만 9,481대 중 83.0%인 1만 6,171대가 세단이었지만, 2025년 8월 기준 세단 비중은 42.8%로 줄어든 반면 SUV 등 RV 비중은 17.0%에서 57.2%로 증가하며 역전됐다.
등록 지역과 구매 주체 측면에서도 대중화가 뚜렷했다. 서울 지역 비중은 2003년 54.5%에서 2025년 14.5%로 급감한 가운데, 인천 등 비수도권 지역 비율은 일제히 상승했고, 구매 유형도 법인 등록 비율이 56.3%에서 36.1%로 줄고, 개인 명의 등록이 43.7%에서 63.9%로 대세가 바뀌었다.

친환경차 확대 흐름도 수치로 확인된다. 2003년 수입차의 97.8%가 가솔린 차량이었지만, 2025년 8월 기준 신규 등록 차량 중 하이브리드가 57.5%, 전기차가 27.8%를 차지하면서 전체의 85.3%가 친환경차로 재편되었다. 배기량 구성도 2,000cc 미만이 18.7%에서 42.5%로 확대됐고, 4,000cc 이상은 15.3%에서 1.6%로 줄었다.
친환경 라인업 확대는 모델 수에서도 드러난다. 2025년 8월 현재 국내 수입 승용차 시장에는 총 22개 브랜드가 320여 개 친환경차 모델을 보유하고 있으며,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 등이 포함된다.
수입차만의 차별화 요소로는 차종 구성과 기술 도입이 꼽힌다. 국산 브랜드에서 보기 어려운 컨버터블, 밴, 픽업 차량은 2003년 대비 각각 7배, 12배, 5배 증가한 월 평균 신규 등록 대수를 기록했으며, 프리미엄 서비스, 고객 프로그램, 시설 투자 등을 통해 전반적인 산업 발전에도 기여했다는 평가다.
시장 점유율 확대도 뚜렷했다. 수입 승용차의 점유율은 2003년 1.9%에서 2024년 18.3%로 뛰었으며, 등록 대수 기준 비중도 13.3%까지 상승했다. 신규 등록 대수는 1만 9,481대에서 26만 3,288대로 약 13배 증가했고, 2025년 1~8월 누적 등록은 19만 2,514대로 전년 동기 대비 13.3% 증가했다.
KAIDA 정윤영 부회장은 “수입자동차는 소비자 선택지 확대는 물론, 기술·문화적 트렌드 선도 역할도 해왔다”며, “앞으로도 안전기술과 자동차 문화 발전을 이끄는 자극제 역할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reivianjeon@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