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러스트

진정성과 전문성을 갖춘 뉴스

사회

“F-35냐 Su-57이냐”… 인도 공군, 스텔스기 도입 급물살

– 인도, F-35·Su-57 도입 검토…노후 전투기 공백 대비
– 2035년 AMCA 전까지 해외 기종 도입 전략
– Su-57은 기술이전 조건, 무기 수입처 다변화 가속

[트러스트=전우주 기자] 인도 공군이 전력 공백을 메우기 위한 대안으로 미국과 러시아산 최신 스텔스 전투기 도입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특히 F-35와 Su-57이 후보군에 포함되며, 자국산 전투기 개발 완료 전까지의 과도기 전략으로 해석된다.

▲Su-57 Felon(사진=Aeroflap)

12일(현지시간) 이코노믹타임스를 비롯한 인도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인도 공군은 록히드 마틴이 개발한 5세대 스텔스 전투기 F-35와 러시아가 선보인 최신형 스텔스기 수호이(Su)-57의 도입 가능성을 살피고 있다. 이는 전력 유지에 필요한 편대 수를 확보하지 못한 인도 공군의 긴급한 대응책으로 풀이된다.

현재 인도 공군은 총 31개 전투기 편대를 운영 중이며, 각 편대는 16~18대의 전투기로 구성된다. 그러나 다음 달 구형 미그(MiG)-21 전투기의 전면 퇴역이 예정되어 있어 편대 수는 29개로 줄어들 전망이다. 인도 국방 당국은 안정적인 공군력 유지를 위해 최소 41개 편대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F-35 Lighting Ⅱ(사진=Aeroflap)

이에 따라 인도는 2035년을 목표로 개발 중인 국산 첨단 중형 전투기(AMCA)가 배치되기 전까지, 공백을 메우기 위한 임시 조치로 해외 스텔스 전투기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 공군은 향후 2개월 내 관련 제안서를 정부에 제출할 계획이며, 이후 최종 도입 여부는 정부 차원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다만, 현재까지 미국 또는 러시아와의 공식 협의는 시작되지 않은 상태다. 익명을 요구한 소식통에 따르면 러시아는 올해 초 인도에 비공식적으로 Su-57의 도입을 제안했으며, 인도 내에서의 공동 생산 및 기술 이전까지 포함된 조건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Su-57 Felon(사진=RUSI)

이러한 움직임은 지난 5월 파키스탄과의 국경 충돌을 계기로 본격화됐다. 인도는 카슈미르 지역에서 발생한 무장 테러 이후 군 전력 강화를 본격 추진 중이며, 과거 러시아 일변도였던 무기 수입 구조도 최근에는 미국 등 다양한 국가로 분산시키는 흐름이다.

reivianjeon@naver.com

답글 남기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