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러스트

진정성과 전문성을 갖춘 뉴스

사회

“줄어든 모닝·스파크 수요”… 2025년 상반기 중고차 시장, 프리미엄 대형차 선호 뚜렷

– 그랜저·G80 중심 대형 세단 강세, 경차 수요는 감소
– SUV 32% 비중 유지, 캐스퍼 등 경형 SUV 선전
– 가솔린·하이브리드 점유율 상승, 실내 공간 선호 반영

[트러스트=전우주 기자] 중고차 시장에서 소비자 수요가 대형 세단과 SUV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현대차 그랜저와 제네시스 G80이 상위권을 차지한 반면, 기아 모닝 등 경차는 순위권 밖으로 밀려나며 세그먼트 간 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G90(사진=제네시스)

케이카(K Car)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중고차 판매 데이터에 따르면, 베스트셀링 모델 1위는 현대차 ‘더 뉴 그랜저’가 차지했다. 이어 그랜저 IG가 4위, 제네시스 G80(RG3)이 10위에 이름을 올리며, 상위 10개 모델 중 3개가 대형 세단이었다. 현대 쏘나타 DN8(3위), 기아 K5 3세대(9위) 등 중형 세단도 상위권에 포진하며 세단 수요의 무게 중심이 중대형급으로 옮겨간 흐름이 확인됐다.

반면, 경제성이 강점인 소형차는 뚜렷한 하락세를 보였다. 2024년 상반기만 해도 상위권에 있던 기아 모닝은 2025년 순위권 밖으로 밀려났고, 쉐보레 더 넥스트 스파크 역시 하위권으로 떨어졌다. 다만, 기아 레이와 현대차 캐스퍼는 비교적 선전하며 경차 세그먼트 내에서 차별화된 입지를 유지했다. 특히 캐스퍼는 7위를 기록해 경형 SUV의 강점을 드러냈다.

▲2025년 7월 중고차 시세(사진=케이카)

차종별 점유율에서도 소비 트렌드 변화가 나타났다. SUV는 전체 판매 비중 32.0%로 전년 대비 1.6%p 증가하며 강세를 이어갔다. 대형 세단 역시 16.5%로 1.0%p 상승했고, 중형차(14.6%), 준중형차(12.8%), 경차(15.7%)는 모두 비중이 줄어들며 세단 시장에서도 규모와 고급화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화됐다.

연료 방식별로는 디젤 차량의 퇴조가 이어졌다. 2025년 상반기 디젤 차량의 점유율은 14.9%로 전년 동기 대비 3.5%p 감소했다. 이에 반해 가솔린 차량은 71.6%로 1.9%p 증가했고, 하이브리드 차량은 8.1%로 1.7%p 상승하며 점진적인 확대세를 보이고 있다. 친환경 정책과 배출가스 규제가 소비자 선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디 올 뉴 그랜저(사진=현대자동차)

이번 데이터는 중고차 수요가 단순한 가격 위주의 선택에서 벗어나 실내 공간, 정숙성, 승차감 등 프리미엄 요소에 대한 선호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SUV와 대형 세단의 강세, 그리고 가솔린·하이브리드 중심의 연료 선호는 앞으로의 중고차 시장 전략에도 영향을 줄 전망이다.

reivianjeon@naver.com

답글 남기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