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드플레이 내한, 또다시 대통령 공석 시기…8년 전과 기묘한 평행이론?
– 콜드플레이, 윤 전 대통령 파면과 맞물린 시점에 내한 공연 개최
– 2017년 내한 당시도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후 공석 시기
– 세월호 참사 11주기 공연…트와이스와 함께 역대급 규모 예고
[트러스트=박민철 기자] 세계적인 브릿팝 밴드 콜드플레이(Coldplay)가 8년 만에 한국을 찾는다. 그런데 이들의 내한 공연 시점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과 겹치며 이례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콜드플레이는 오는 4월 16·18·19·22·24·25일, 경기 고양시 고양종합운동장에서 두 번째 내한 공연 ‘뮤직 오브 더 스피어스(Music of the Spheres)’를 연다. 공연은 글로벌 콘서트 기획사 라이브 네이션이 주최하고 물류기업 DHL이 후원한다.
흥미로운 점은, 이 공연 기간 대한민국 대통령 자리가 공석이라는 것이다. 4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의 결정으로 파면되면서, 헌정상 60일 이내 대선을 통해 새 대통령을 선출해야 하는 상황이다. 물리적으로도 이 기간에는 새로운 대통령이 존재할 수 없다.
더욱 놀라운 건, 콜드플레이가 처음 내한했던 2017년 4월에도 한국은 대통령이 없는 시기였다는 점이다. 그해 3월 박근혜 전 대통령이 파면됐고, 5월 문재인 전 대통령이 선출되기 전까지 역시 공석이었다. 당시에도 콜드플레이는 내한 공연을 펼쳤다.

이러한 공통점을 두고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에선 이른바 ‘콜드플레이 평행이론’이 완성됐다는 반응이 나왔다. 시대는 달라도 상황은 기묘하게 반복되고 있다는 것이다. 윤 전 대통령은 박 전 대통령을 기소했던 검사 출신이며, 두 사람 모두 임기 중 탄핵된 공통점이 있다.
또한 콜드플레이는 이번 공연 첫날인 4월 16일, 세월호 참사 11주기를 맞아 공연한다. 이 역시 우연이라 보기 어려운 연결고리다. 이들은 2017년 내한 당시에도 참사 3주기인 4월 16일 공연을 추가로 열고, 무대 위 스크린에 노란 리본을 띄우며 희생자들을 추모한 바 있다. 대표곡 ‘옐로(Yellow)’를 부를 때의 장면은 아직도 팬들 사이에서 회자되고 있다.

이번 내한 공연은 총 6회, 회당 3만 명씩 총 18만 명의 관객이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단일 아티스트 기준 역대 최대 규모로, 내한 공연 역사상 최다 회차이자 최대 관객 수다. 특히 모든 공연에는 K팝 대표 걸 그룹 트와이스가 게스트로 나설 예정이라 음악 팬들의 기대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
trustnews@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