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러스트

진정성과 전문성을 갖춘 뉴스

지역

춘천시, 외국인 유학생 주거·취업·비자 전방위 지원… “지역 정착 본격 추진”

– 국제협력관 산하 외국인정책팀 신설… 실질적 지원체계 마련
– 춘천시, 상생형 숙소·농촌 일자리·야시장 창업 등 정주 기반 강화
– 비자 전환 제도 개선도 건의… 기업 연계 인턴십도 시범 운영

[트러스트=박민철 기자] 춘천시가 외국인 유학생의 지역 정착과 취업을 돕기 위한 본격적인 정책을 가동했다. 춘천시는 올해 1월 국제협력관 산하에 ‘외국인정책팀’을 신설하고, 주거·취업·비자 문제 해결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 체계를 마련했다고 15일 밝혔다.

▲춘천시, 외국인 유학생 주거·취업·비자 전방위 지원(사진=춘천시)

춘천시에 따르면 2023년 12월 기준으로 지역 내 등록 외국인은 총 5,052명으로, 이는 전체 인구의 약 1.7%에 해당한다. 시는 그동안 유학생 인턴십, 시티투어, 겨울옷 나눔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유학생과 지역사회의 접점을 넓혀왔으며, 명예통역관과 명예홍보대사 제도 등을 통해 글로벌 교류 기반도 차근차근 다져왔다.

이번 정책의 핵심은 유학생이 춘천에 정착하고 안정적으로 취업할 수 있도록 주거와 일자리, 제도 개선을 연계한 종합 지원이다. 먼저 시는 기숙사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지역 상생형 숙소’를 도입할 예정이다. 이 숙소는 대학, 민간 소유주, 지자체가 함께 유휴 건물을 활용해 유학생에게 안정적인 거주 공간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또한 춘천시는 강원대학교, 춘천시 농어업회의소와 협력해 방학이나 주말 중 유학생이 지역 농가에서 일할 수 있도록 시간제 일자리를 연계할 계획이다. 더불어 풍물시장 야시장 내 외국 음식 매대를 유학생과 다문화가정이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중장기적으로는 관내 대학과 기업, 산업단지 등과 연계해 전공과 기업 수요에 맞는 맞춤형 인턴십 및 채용 모델을 구축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4월 중 강원대 유학생을 대상으로 지역 기업 견학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거두리 농공단지 입주 기업을 대상으로 채용 수요 조사도 함께 이뤄지고 있다.

춘천시는 이 밖에도 외국인 유학생의 비자 전환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 강원특별법에 특례 조항을 신설해 줄 것을 정부에 건의한 상태다. 또한 농업기술센터와 협력해 계절근로자 대상 농기계 연수 등 역량 강화 프로그램도 추진할 계획이다.

▲춘천시, 외국인 유학생 주거·취업·비자 전방위 지원(사진=춘천시)

춘천시 관계자는 “외국인과 지역이 함께 성장하는 포용적 정책을 지속 추진함으로써 춘천을 국제도시로 한 단계 도약시키겠다”고 강조했다.

trustnews@daum.net

답글 남기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