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시, 외국인 유학생 주거·취업·비자 전방위 지원… “지역 정착 본격 추진”
– 국제협력관 산하 외국인정책팀 신설… 실질적 지원체계 마련
– 춘천시, 상생형 숙소·농촌 일자리·야시장 창업 등 정주 기반 강화
– 비자 전환 제도 개선도 건의… 기업 연계 인턴십도 시범 운영
[트러스트=박민철 기자] 춘천시가 외국인 유학생의 지역 정착과 취업을 돕기 위한 본격적인 정책을 가동했다. 춘천시는 올해 1월 국제협력관 산하에 ‘외국인정책팀’을 신설하고, 주거·취업·비자 문제 해결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 체계를 마련했다고 15일 밝혔다.

춘천시에 따르면 2023년 12월 기준으로 지역 내 등록 외국인은 총 5,052명으로, 이는 전체 인구의 약 1.7%에 해당한다. 시는 그동안 유학생 인턴십, 시티투어, 겨울옷 나눔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유학생과 지역사회의 접점을 넓혀왔으며, 명예통역관과 명예홍보대사 제도 등을 통해 글로벌 교류 기반도 차근차근 다져왔다.
이번 정책의 핵심은 유학생이 춘천에 정착하고 안정적으로 취업할 수 있도록 주거와 일자리, 제도 개선을 연계한 종합 지원이다. 먼저 시는 기숙사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지역 상생형 숙소’를 도입할 예정이다. 이 숙소는 대학, 민간 소유주, 지자체가 함께 유휴 건물을 활용해 유학생에게 안정적인 거주 공간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또한 춘천시는 강원대학교, 춘천시 농어업회의소와 협력해 방학이나 주말 중 유학생이 지역 농가에서 일할 수 있도록 시간제 일자리를 연계할 계획이다. 더불어 풍물시장 야시장 내 외국 음식 매대를 유학생과 다문화가정이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중장기적으로는 관내 대학과 기업, 산업단지 등과 연계해 전공과 기업 수요에 맞는 맞춤형 인턴십 및 채용 모델을 구축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4월 중 강원대 유학생을 대상으로 지역 기업 견학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거두리 농공단지 입주 기업을 대상으로 채용 수요 조사도 함께 이뤄지고 있다.
춘천시는 이 밖에도 외국인 유학생의 비자 전환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 강원특별법에 특례 조항을 신설해 줄 것을 정부에 건의한 상태다. 또한 농업기술센터와 협력해 계절근로자 대상 농기계 연수 등 역량 강화 프로그램도 추진할 계획이다.

춘천시 관계자는 “외국인과 지역이 함께 성장하는 포용적 정책을 지속 추진함으로써 춘천을 국제도시로 한 단계 도약시키겠다”고 강조했다.
trustnews@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