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러스트

진정성과 전문성을 갖춘 뉴스

생활

“얇기·소재·칩셋 전면 교체”… 아이폰 17 에어, 핵심 특징 7가지 공개

– 아이폰 17 에어, 5.5mm 초슬림 티타늄 바디 공개
– A19 칩·5G 모뎀 탑재로 경량화·데이터 처리 최적화
– 단일 카메라·iOS 26 등 공간 활용·UI 대폭 개선

[트러스트=전우주 기자] 애플이 오는 9월 9일, 초슬림 스마트폰 아이폰 17 에어를 새롭게 선보인다. 해당 모델은 기존 플러스 모델의 자리를 대신하며, 아이폰 17 시리즈 내에서 디자인, 소재, 성능,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부문에서 차별화된 7가지 주요 특징을 중심으로 정체성을 구축하고 있다.

▲아이폰 17 에어 예상도(사진=@asherdipps)

아이폰 17 에어의 첫 번째 특징은 5.5mm 두께의 초슬림 섀시다. 이 수치는 삼성의 갤럭시 S25 엣지(5.8mm)보다 얇은 수준으로, 애플 스마트폰 역사상 가장 얇은 두께에 해당한다. 더미 유닛을 기준으로 육안상 차이가 명확히 드러나며, 얇은 형태 자체가 디자인 전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두 번째는 소재의 변화다. 기존 프로 모델에 적용되던 티타늄 프레임이 에어 모델에만 독점 적용될 예정이다. 알루미늄 대비 높은 밀도와 강도를 갖춘 티타늄은 경량화된 디자인에 구조적 안정성을 더하기 위한 선택으로 해석된다. 프로 모델에는 알루미늄 프레임이 사용될 것으로 알려져, 에어 모델의 차별성을 강조하는 핵심 포인트다.

세 번째는 A19 프로 칩셋의 수정형 탑재다. 아이폰 17 프로 및 프로 맥스와 동일한 아키텍처 기반의 칩셋이지만, 에어 모델에는 그래픽 처리 성능이 일부 조정된 버전이 적용된다. 표준 A19 칩이 탑재될 가능성도 함께 언급되고 있다.

▲아이폰 17 에어(사진=애플인사이더)

네 번째는 애플 자체 개발 모뎀 ‘C1’의 재도입이다. C1 모뎀은 이전 아이폰 16e에 처음 적용되었으며, 이번에는 에어 모델에도 동일한 구성이 탑재된다. 초기에는 해당 모뎀이 MagSafe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지만, 최종 제품에는 MagSafe 완전 호환이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다섯 번째는 12GB 램의 적용이다. 아이폰 17 시리즈 전반에 적용될 것으로 알려진 해당 사양은, 에어 모델의 멀티태스킹 성능 향상과 애플 인텔리전스 연산 기능 지원에 중점을 두고 있다.

여섯 번째는 카메라 구성의 간소화다. 후면 카메라는 4,800만 화소 단일 메인 카메라, 전면 카메라는 2,400만 화소 셀피 카메라가 적용된다. 전면 카메라는 기존 모델과 달리 다이내믹 아일랜드의 좌측으로 이동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내부 공간 설계에 따른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가변 조리개 기능이 적용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마진부가 예상한 아이폰 17 에어 출시 색상(사진=@MajinBuOfficial)

일곱 번째는 iOS 26 운영체제와 함께 도입되는 리퀴드 글래스 인터페이스다. 해당 UI는 반사 효과와 유동적 시각 요소를 결합한 디자인 언어로, 아이폰 17 에어의 화면과 사용 경험을 시각적으로 고도화하는 데 집중한다. 이번 업데이트는 퍼블릭 베타 테스트를 거쳐 아이폰 17 시리즈 출시와 동시에 정식 배포될 예정이다.

이외에도 배터리 용량은 2,900mAh로, 갤럭시 S25 엣지(3,900mAh)보다 적은 편이며, 범퍼 케이스 디자인은 아이폰 4 시절의 스타일을 기반으로 한 프로토타입이 개발 중이다. 판매가는 949달러(한화 약 130만 원) 수준이 유력하며, 이는 기존 플러스 모델보다 소폭 상승한 금액이다.

reivianjeon@naver.com

답글 남기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